대표 논문
2014. 「中国の三段八角台座に秘められた象徴 -崑崙山, 須彌山, 三段台 座-」, 『佛敎藝術』 336.
2015. "Images of the Four Heavenly Kings in Unified Silla as the Symbol of National Defense", Buddhist Studies Review 32-2.
2015. 「한국 고대 불교조각의 허물어진 경계: 국보 제78호 반가사유상」, 『강좌미술사』 45.
2015. 「『유마경』의 유마거사상과 문수보살상: 不二인 세속과 탈속」, 『미술사학연구』 286.
2016. 「둔황 석굴의 후원자 호탄국왕, 그의 다양한 시각화」, 『중앙아시아연구』 21-2.
2016. 「창녕 관룡사 용선대 석불좌상의 새로 발견된 '명문'과 '양식' 문제」, 『신라문화』 47.
2017. 「봉화 축서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및 목조광배: 축서사와 왕경 진골 귀족, 그리고 황룡사」, 『이화사학연구』 55.
2017. 「일명 '청와대불상'의 내력과 의미」, 『미술사학연구』 296.
2017. "Stone Statues at the Royal Toms of King Sŏngdŏk: The Beginning of Royal Funerary Sculpture in the Silla Dynasty", Acta Koreana 20-2.
2017. "The Four Heavenly Kings of Jikjisa Temple Dated to 1665 of the Joseon Period and Their Significances", Korea Journal 57-2.
2018. 「천왕문의 등장: 한국 사천왕상의 봉안 위치와 역할 변화」, 『신라문화』 52.
2018. "The 'Lion and Kunlun Slaves' Image: A Motif of Buddhist Art Found in Silla Funerary Sculpture", Sungkyun Journal of East Asian Studies 18-2.
2019. 「불국사의 9세기 神琳系 불교조각」, 『미술사학』 37.
2019. 「한국의 돈황 불교미술 연구 동향: 사고틀의 새로운 모색」, 『중앙아시아연구』 24.
2019. 「석굴암 승려상 10구, 십대제자상(十大弟子像)인가?」, 『미술사와 시각문화』 24.
2019. 「願堂 사찰, 제천 덕주사의 마애여래입상」, 『한국고대사탐구』 33.
2020. 「교통 요지, 밀양 舞鳳寺의 석조여래좌상과 석조광배」, 『신라문화』 55.
2020. 「백제 규암리 금동관음보살입상의 流轉, 그리고 그 성격」, 『미술사와 시각문화』 26.
2020. 「새로 발견된 禪林院址 금동보살입상, 통일기 신라 보살상의 명작」, 『미술사학연구』 308.
2020. "Rock-Carved Buddhas at Ch'ilburam Hermitage in Namsan Mountain, Kyŏngju", Buddhist Studies Review 37-2.
2020. "The Two Bodhisattva Reliefs of Sukgulam Grotto: Identifying the Figures of Mañjuśrī and Samantabhadra", Eastern Buddhist 48-2.
2020. "Buddhist Ritual and the Bronze Buddha Mold Excavated from the Western Five-Story Stone Pagoda of Hwaŏmsa Temple", Religions 11-3.
2021. 「9세기 신라 왕경의 비로자나불상」, 『이화사학연구』 62.
2021. 「동화사 비로암의 두 비로자나불상」, 『불교미술』 32.
2022. 「불상형 지권인 비로자나불상의 표훈(表訓) 창안 가능성」, 『미술사와 시각문화』 29.
2022. 「한국 고대 소형 전불(塼佛)과 그 용도」, 『미술사학』 44.
2023. 「구례 화엄사 사천왕상과 벽암 각성, 조각승 인균」, 『미술사학연구』 319.
2023. “Mountaintop Stone Giants:The Rock-carved Buddhas of the Silla Royal Capital”, Buddhist Studies Review 40.
2024. 「한국 조각사에서 9세기라는 시기」, 『미술사와 시각문화』 34.
2024. 「국립경주박물관 소장 신라 <수구즉득다라니>의 金剛神像, 그리고 <금동방형경합>」, 『신라문화』 65.
2024. “Yŏm Sŭngik(廉承益) and Healing through the Conception of the Baoqieyin Dhāraṇī-Maṇḍala Image in the Late Goryeo Dynasty”, Korean Journal of Medical History 33.